경제용어사전

무기계약직

 

기간을 정하지 않고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람.
공무원의 경우 정규직에 해당하는 일반직 공무원과 비정규직에 해당하는 기간제 근로자의 사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용기간측면으로만 본다면 무기계약직은 정규직과 차이가 없다. 근로 계약기간이 2년으로 제한되어 있는 계약직과 확실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임금이나 승급 체계에서는 정규직과 무기계약직의 차이가 크다.
무기계약직은 연봉과 승급에서 정규직과는 다른 별도의 직군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무기계약직의 임금은 정규직에 50-60%정도에 머문다고 한다.

관련어

  • 미러펀드[mirror fund]

    외국계 운용사들이 역외펀의 운용방침과 자산구성 등을로 본떠 국내에 재설정한 것으로 비과세혜...

  • 무라타제작소[Murata Manufacturing Co.]

    일본 교토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제조사다. 2021년 1...

  •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머신 러닝은 클라우드 컴퓨터가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에서 주어진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

  • 물가안정실업률[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NAIRU]

    물가상승을 가속화시키지 않는 실업률을 말한다. 적정성장률을 넘어서는 과열성장은 인플레를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