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샤프지수

[Sharp Ratio]

한 단위의 위험자산에 투자해서 얻는 초과수익률의 크기로써 펀드운용성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샤프지수=(펀드평균수익률-국고채평균수익률)/(펀드표준편차) 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수익률 변동폭이 크지 않으면서 높은 수익을 올리는 펀드라고 보면 된다. 1996년에 윌리엄 샤프(William F.Sharpe)가 기준으로 삼는 벤치마크 수익률과 비교해 뮤추얼펀드가 얼마나 잘 운용되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처음 도입했다.

  • 세금환급[Tax Rebate]

    정상적으로 납부한 세금을 세법개정을 통해 납세자에게 환급하는 것을 말한다. 세금납부 후에 ...

  • 수확체증의 법칙[Increasing returns of scale]

    노동시간을 추가하면 산출량의 증가정도는 커지게 된다능 이론. 브라이언 아더 교수는 하이테크...

  • 시티 오브 런던[City of London]

    런던의 금융중심지다. 동서로 런던타워에서 성바오로 성당까지,남북으로 템스강에서 런던 월까지...

  • 생산지수[production index]

    일정기간의 생산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 개별품목의 기준시에 대한 비교시의 생산수량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