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자료거래

 

말 그대로 자료 없이 상거래를 하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자료란 세금계산서를 의미하며, 무자료거래란 세금계산서를 주고받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무자료거래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세금계산서를 주고받지 않을 경우 매출액이나 매입액 등 과세자료가 노출되지 않아 탈세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말해 모든 거래에 정상적으로 세금계산서가 교부되면 부가가치세 탈세는 불가능해지게 된다. 금융실명제가 금융거래를 실제 이름대로 하는 것이라면 세금계산서의 교부는 바로 거래실명제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실명제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무자료거래가 근절되어야만 한다는 주장도 많다.

  • 매출채권[trade receivables]

    기업이 재화·용역 등을 외상으로 판매하고 그 대가로 미래에 현금을 수취할 수 있는 권리를 ...

  • 맥락효과[Context Effect]

    처음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들어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는 기본지침이 되어 전반적인 맥락을 제공...

  • 매입초과포지션

    현물자산잔액과 선물자산잔액의 합계액이 현물부채잔액와 선물부채잔액의 합계액을 초과하는 경우의...

  • 마켓퍼폼[market perform]

    애널리스트들이 주식의 향 후 6개월간 수익률이 시장의 평균수익률 대비 - -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