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레버리지 효과

[leverage effect]

타인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자본을 가지고 투자를 하여 이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빌린 돈을 지렛대(lever) 삼아 이익을 창출한다는 의미에서 지렛대 효과라고도 부른다. 예를 들어 1백억원의 자기자본으로 10억원의 순익을 올렸다고 할 때 자기자본이익률은 10%가 되지만 자기자본 50억원에 타인자본 50억원을 도입하여 10억원의 순익을 올리게 되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가 되므로 차입금 등의 금리 비용보다 높은 수익률이 기대될 때에는 타인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과도하게 차입금을 사용하면 불황시에 금리부담이 발생 수익률보다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이른바 ''''부(負)의 레버리지(negative leverage)'''' 효과가 발생하여도산위험과 도산 기대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 로컬디밍[local dimming]

    백라이트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해 화면의 어두운 부분에는 아예 백라이트를 꺼주는 기술. 소...

  • 루이스 알베르토 모레노[Luis Alberto Moreno]

    미주개발은행 총재. 모레노 총재는 콜롬비아인 아버지가 펜실베이니아대 의대에서 유학 중이던 ...

  • 러브펀드

    러시아와 브라질에 투자하는 펀드

  •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경영기법의 하나로 주된 내용은 인원삭감, 권한이양, 직원의 재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