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기행렬이론

[queuing theory, waiting-line theory]

요구 서비스와 제공 서비스를 맞추는 데 쓰이는 계량적 기법. 서비스 제공기관의 수용능력을 평가하고 하루동안 다른 시간에 수용능력을 부과한다. 고속도로의 통행권 판매소나 은행 금전출납원의 수 등을 결정하는 것과 같이 비용과 서비스 수준을 맞추는 문제에 유용하다.

  • 데니스 낼리[Dennis M. Nally]

    세계 최대 회계·경영컨설팅 업체인 PwC(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인터내셔날 회장으로 19...

  • 대물배상

    자동차 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 이를 보상해주는 담보를 말한다. 차량 소유...

  • 닥터둠[Dr. Doom]

    미국의 투자전략가 마크 파버가 1987년 뉴욕 증시 대폭락과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

  • 데이터 저장장치[data storage device]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했다가 다시 검색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데이터 저장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