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희석화

[dilution]

주식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신주가 발행될 때 주식수가 늘어나는 만큼 회사 자산이나 이익이 늘어나지 않으면 주식수가 늘어나는 만큼 회사 자산이나 이익이 준다. 1주당 순자산이나 순이익이 감소하는 것과 같은 경우다. 특히 신주를 공모할 경우 구주주에 있어서는 경영참가권의 희석화를 초래하여 불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희석화에 대비하여 구주주를 보호하기 위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한다. 시가전환사채를 발행한 후 증자 등 전환사채 소유자에게 불리한 영향을 미칠 사건이 발생하면 전환가격을 하향조정하도록 계약서에 규정을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희석화 방지조항이라 한다.

  • 하이디어[high-idea]

    하이(High)와 아이디어(idea)의 합성어다. 아이디어보다 더 발전된, 비즈니스 모델 ...

  • 황금수갑[golden handcuffs]

    높은 연봉이나 다양한 복지 혜택 등 매력적인 조건 때문에 직장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상황을...

  • 환매조건부 주식 매매계약

    주식 소유자가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다시 사들이는 조건으로 주식을 맡기고 자금을 빌리는 거...

  • 합작개발생산[Join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JDM]

    합작개발생산(JDM)은 주문자가 신제품이나 신기술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제조사와 협업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