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가지수선물 필수용어

 

·결제월 : 일반적으로 3, 6, 9, 12월 등 3개월 단위로 설정돼 있는 매매계약의 이행월. 각 결제월물은 최종거래일이 경과하면 상장폐지되고 거래기간이 가장 긴 새로운 결제월물이 신규상장돼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거래단위 : 주가지수 선물시장에서 걸되는 상품의 기본단위로 선물 1계약의 양 또는 금액을 말한다. 우리나라 주가진수선물거래의 거래단위는 KOSPI200지수x25만원이다.

·일일정산 : 선물거래의 미결제 약정수량을 매일 그날의 종가로 재평가해 선물가격 변화에 따른 손익을 고객의 증거금에서 차감하는 것.

·전매 : 매수 미결제 약정을 최종거래일 이전에 매도해 손익을 확정하는 매매거래.

·환매 : 매도 미결제 약정을 최종거래일 이전에 매수해 손익을 확정하는 매매거래.

·미결제약정수량 : 장 종료 이후에도 반대매매되거나 결제되지 않고 있는 특정 결제월의 선물계약총수로 매도 또는 매수 일방만으로 계산, 발표된다.

·최종결제 : 최종거래일까지 전매나 환매되지 않은 약정에 대해 최종결제가격을 평가해차액을 수수하는 것.

·베이시스(basis) : 현물가격과 선물가격과의 차이를 말하는데, 이론적 베이시스는 선물이론가격에서 현물가격을 차감해 산출한다.

·포지션(position) 보유 한도 : 한 개인이나 최원이 미결제 상태로 보유할 수 있는 선물계약고의 최대 한도.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설정된다.

·위탁증거금 : 가격이 불리하게 변동됐을 경우에도 결제를 성실히 이행할 것을 보증키 위해 고객이 중개회사에 납부하는 금액. 개시증거금, 유지증거금, 추가증거금이 있다.

·매매증거금 : 회원이 고객의 미결제 약정 및 자신의 미결제 약정에 대해 결제이행을 보증키 위해 거래소에 납부하는 증거금.

·스프레드(spread)거래 : 동일 대상물 결제월이 다른 종목이거나 대상물은 다르지만 가격 움직임은 유사한 건물계약간의 가격차가 확대 또는 축소될 것을 예상하고 선물계약을 동시에 매매해 이익을 얻으려는 거래.

·해지(hedge)비율 : 헤지의 대상이 되는 기본자산(현물 또는 선물 등)의 가치가 일정한 값만큼 변동할 때 헤지를 위해 이용하는 파생상품(선물 또는 옵션)의 가치가 변동하는 정도.

  • 정보과잉

    리스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정보가 너무 많아 오히려 위험이 증대된다는 것. 경제주체들이 무...

  •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미래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

  • 전략 비축유[Strategy Petroleum Reserve, SPR]

    자연재해나 안보 비상 사태 등으로 석유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를 대비해 비축해 놓은 원...

  •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 LMF]

    265도 이상에서 녹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달리 100~200도의 낮은 온도에서 녹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