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노동유연성

[Labour market flexibility]

경기침체나 회복 등 외부 변수에 따라 인적자원을 신속하고 탄력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노동시장의 능력.

노동유연성이 높으면 고용주가 근로자를 쉽게 해고할 수 있어 노동자의 근로 안정성은 떨어진다. 반면 노동유연성이 낮으면 신규 채용이 줄어들어 청년실업률은 올라가게 된다.


세계경제포럼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미국은 OECD 36개국 중 두 번째로 노동유연성이 높은 데 비해 한국은 34위로 최하위다.

국내에서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 노조와의 협의, 고용노동부 장관의 허가 등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실상 정리해고가 불가능한 구조다. 한국만의 독특한 ‘연공서열형 임금체계’, 즉 호봉제도 노동유연성을 떨어뜨리는 데 한몫한다.

  • 뉴스심리지수[News Sentiment Index, NSI]

    한국은행이 경제기사에 드러난 가계·기업의 경제심리를 산출해 매주 화요일 공개하는 경제심리지...

  • 나홀로족[Myself generation, M-generation]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기 보다는 자신만의 여가생활을 하며 즐기는 이들을 말한다. 누에고치를 ...

  • 노히트 노런[no hit no run]

    선발 투수가 상대 팀을 무안타, 무득점으로 막아 이긴 게임. 볼넷, 몸에 맞는 볼, 실책으...

  • 농가 쌀소득 직접지불제

    쌀시장 개방에 따라 농가들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80㎏ 가마당 17만 70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