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캠 코인

[scam coin]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투자자를 현혹시켜 투자금을 유치하는 행위를 `스캠'이라하고 이 때 발행하는 코인을 스캠코인이라고 한다.

즉,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스캠코인은 크게 세 분류로 나뉜다.

첫 번째 초보적 수준의 스캠으로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만든 것이 이에 속한다. 실현이 불가능한 목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나 정보가 있다며 고수익을 보장하는 것들이 대게 이 부류로 ICO를 통해 자금이 모금 되면 곧바로 잠적한다. 보물선 코인으로 사기판을 벌였던 `신일골드코인'이 대표적 사례이다.

두 번째는 중급수준의 스캠인데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점은 초보 수준 스캠과 같지만 ICO를 한 후 거래소에 상장을 한다는 점이 다르다. 일반 투자자들은 상장된 코인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인데, 자금을 유치한 측은 상장후 시세조작으로 막대한 차익을 거둔 후 사라진다.

세 번째는 고급수준의 스캠이다. 자금 유치자가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했다기 보다는 추진과정에서 백서대로 실현이 불가능하거나 수익성이 떨어져 중도에 개발 계획을 내부적으로 포기한 코인이 이에 속한다.

관련어

  • 사채관리회사

    회사채 투자자들을 대신해 발행사의 계약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채권자집회 운영 등을 맡도록 ...

  • 시니어 노트[senior note]

    발행회사가 부도가 날 경우 원리금 상환순위가 일반 채권 보다 앞서는 채권

  • 신용정보이용 보호법

    개인의 신용정보를 이용하는 업체에 대한 자격 요건과 신용정보를 보호할 목적으로 신설된 제도...

  • 소득세 최고세율

    개인사업자에게 적용하는 종합소득세 세율중 최고 높게 적용되는 세율. 개인사업자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