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캠 코인

[scam coin]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투자자를 현혹시켜 투자금을 유치하는 행위를 `스캠'이라하고 이 때 발행하는 코인을 스캠코인이라고 한다.

즉,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스캠코인은 크게 세 분류로 나뉜다.

첫 번째 초보적 수준의 스캠으로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만든 것이 이에 속한다. 실현이 불가능한 목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나 정보가 있다며 고수익을 보장하는 것들이 대게 이 부류로 ICO를 통해 자금이 모금 되면 곧바로 잠적한다. 보물선 코인으로 사기판을 벌였던 `신일골드코인'이 대표적 사례이다.

두 번째는 중급수준의 스캠인데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점은 초보 수준 스캠과 같지만 ICO를 한 후 거래소에 상장을 한다는 점이 다르다. 일반 투자자들은 상장된 코인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인데, 자금을 유치한 측은 상장후 시세조작으로 막대한 차익을 거둔 후 사라진다.

세 번째는 고급수준의 스캠이다. 자금 유치자가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했다기 보다는 추진과정에서 백서대로 실현이 불가능하거나 수익성이 떨어져 중도에 개발 계획을 내부적으로 포기한 코인이 이에 속한다.

관련어

  • 세일 앤 리스백[sale and lease-back]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기계, 설비, 토지 및 건물 등을 은행이나 보험사, 리스회사 등 금융...

  • 상승장악형[Bullish Engulfing]

    캔들챠트의 상승반전형중 하나. 형태상으로 두 번째 봉에 의해 첫 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

  • 성난 젊은이[Angry Men]

    195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전후 세대를 의미한다. 특히 전후 기성세대의 위선적인 태도, ...

  • 신재생에너지포인트[Renewable Energy Point, REP]

    신재생에너지 생산인증서의 발급 및 거래단위로서 생산인증서 발급대상 설비에서 생산된 M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