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적자본지수

[Human Capital Index, HCI]

한 나라의 보건·교육환경을 반영해 오늘 태어난 아이가 18세까지 얻게 될 인적자본의 총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 지수는 0과 1 사이의 값으로 표기하는데, 아이가 완전한 교육과 의료를 제공받았을 때 값이 1이다.

2019년 10월11일 세계은행은 처음으로 세계 157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적자본지수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 인적자본지수는 0.84로 싱가포르(0.8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한국에서 태어난 아이는 완전한 교육과 의료 혜택을 받았을 경우에 비해 84% 수준의 생산성을 갖는다는 의미다.

일본은 0.84로 한국과 지수는 같았지만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에서 더 낮아 3위였다. 4위는 홍콩(0.82), 5위 핀란드(0.81), 6위 아일랜드(0.81), 7위 호주(0.80), 8위 스웨덴(0.80), 9위 네덜란드(0.80), 10위는 캐나다(0.80)였다. 미국은 24위(0.76), 중국은 46위(0.67)였다. 차드(0.29) 남수단(0.30) 니제르(0.32) 말리(0.32) 라이베리아(0.32) 등 아프리카 국가들이 최하위였다.

  •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처럼 출자자들이 유한책임을 지면서도 이사나 감사를 의무적으로 선임하지 않아도 되는 ...

  • 은퇴준비격차

    은퇴후 예상하는 생활비가 현재의 연간 총소득에서 어느 정도 대체될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

  • 이디스커버리[e-Discovery]

    디스커버리 제도는 미국의 소송절차 중 하나로, 소송 당사자들이 상대방이 갖고 있는 정보를 ...

  • 우선주[preferred stock]

    배당가능한 이익이 발생했을 때나 잔여 재산이 분배될 때 보통주에 우선해 소정의 배당이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