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정학적 위험지수
[geopolitical risk index, GPR]190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주요 언론에 언급된 비경제적 혹은 사회경제적 요인을 종합해 2000~2009년을 기준으로 세계 지정학적 위험이 악화 혹은 완화됐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미국 중앙은행(Fed)이 개발했다.
GPR 지수는 1차대전 당시 372포인트까지 치솟으면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뒤이어 2003년 미국의 이라크 공습 당시 362포인트, 2차대전 당시 346포인트,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272포인트까지 올랐다. 2017년 들어서는 북핵 문제를 둘러싼 주변국 간 갈등과 각국 대통령이 잇달아 탄핵에 몰리면서 GPR 지수가 300포인트대까지 급등하고 있다.
시기별로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비경제적 요인, 그 이후에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GPR 지수가 높아지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
심자외선 노광장비[Deep Ultraviolet lithography equipment, Deep Ultraviolet exposure system, DUV lithography equipment]
190~365나노미터 범위의 파장을 가진 빛을 사용해 반도체 웨이퍼에 미세한 회로 패턴을 ...
-
사드[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미국의 고(高)고도미사일방어체계. 미국의 군사기지를 공격하는 미사일을 격추할 목적으로 록히...
-
스마트 팩토리
제조 장비와 물류 시스템들이 인간의 개입 없이 폭넓게 자율적으로 조절되고 운용되는 공장이다...
-
세대생략증여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고, 세대를 건너뛰어 손자에게 재산을 이전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