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원더랜드

[Wonderland]

과학저술가이자 미디어 전문가인 스티븐 존슨(Steven Johnson이 놀이와 재미가 인류의 삶을 어떻게 바꿔왔는지를 추적한 책이다.

그가 2014년 낸 저서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의 속편이다. 현대사회를 이끈 여섯 가지 혁신을 다뤘다. 음악과 패션, 맛, 오락 등 즐거움과 재미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기술과 혁신이 탄생했다는 주장이다.

대량 소비사회의 시작이 된 백화점도 지금의 테마파크와 같은 원더랜드로 시작했고, 이후 정가제와 신용결제 서비스 도입에 힘입어 초대형 쇼핑몰과 도시 발전의 매개체가 됐다. 영화, 컴퓨터와 인공지능, 로봇의 탄생 역시 거슬러 올라가면 새로운 재미를 추구하려는 도전이 있었다.

재미는 인류의 삶을 바꾼 위대한 아이디어를 낳았다. 그동안 우리는 놀이와 즐거움의 가치를 과소평가했다.

미래 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인류가 어떤 삶을 누릴지 알고 싶은 사람은 인간이 노는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알려지지 않았던 놀이의 역사를 추적해 밝혀낸 저자의 결론이다.

관련어

  • 이력현상[hysteresis]

    경제적 충격 이후에 경제가 회복돼더라도 고용이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이...

  • 앤티프래절[Antifragile]

    베스트 셀러 《블랙 스완》의 작가 나심 탈레브가 2012년 내놓은 책의 제목. ‘충격을 받...

  • 예금은행[deposit banks]

    예금은행은 ‘총부채 중 요구불예금의 비중이 높아 예금통화의 창출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금융...

  • 유형별 의료수가제

    건강보험이 가입자를 대신해 병원 약국 등 의료 공급자에게 진료비를 지불할 때 각각의 의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