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성장관리권역

 

수도권정비계획법은 서울과 경기도를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등3개 권역으로 나누어 놓고 있다.

과밀억제권역은 서울 반경 40㎞ 이내 지역 중 인구밀도 또는 인구증가율이 수도권 평균보다 높은 서울, 인천, 수원, 구리 고양, 광명, 과천 등의 지역을 말한다. 이 지역에서는 공업용지 신규지정이 금지되고 대형 건축물을 지을 때는 과밀부담금을 내야한다.

자연보전권역은 한강 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자연보전권역은 서울 동쪽의 이천, 광주, 여주 등이 해당되며 전체 면적은 3830.5㎢다. 이 지역에서는 공업용지, 택지, 관광지의 개발이 6만㎡ 이내에서만 가능하다.

성장관리권역은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와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지역이다. 서울의 위아래 지역으로 동두천, 안산, 평택, 파주, 김포, 화성 등이 해당된다. 세 지역 중 면적(5173.1㎢)이 가장 넓다.

  • 시세조종

    주가를 인위적으로 상승, 하락, 혹은 고정시키는 것으로 흔히 "작전"이라고 한다. 직접 거...

  • 소비자 신용분석

    기업의 신용분석은 재무제표 등 객관적인 자료들이 있으나 소비자는 관련자료가 부족해 신용분석...

  • 수출보증보험

    수출 또는 해외공사계약과 관련하여 수출보증서를 발급한 금융기관이 수입자 또는 발주자로부터 ...

  • 수소충전소[Hydrogen station]

    휘발유나 경유를 주유하는 주유소 (gas station) 대신 미래 청정에너지로 불리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