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전문가제도
삼성그룹의 독특한 글로벌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1990년 이건희 회장의 지시로 도입했다. 2015년까지 외환위기 때를 제외하곤 한 번도 선발을 거르지 않았다. 지역전문가로 뽑힌 직원은 아무 조건 없이 원하는 국가에 1~2년간 머물며 현지 언어와 문화를 익힐 수 있다.
삼성은 연봉 외에 1인당 1억원 안팎의 체재비를 지원한다. 삼성은 2015년까지 1조원가까운 돈을 투자해 5000여명의 지역전문가를 길러냈다. 이들이 머문 국가는 80개국이 넘는다.
제도 도입 초기, 그룹 내에선 반대도 적지 않았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데다 당장 현장에서 일손을 빼내는 게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계열사 사장들은 물론 회장 직속의 비서실에서도 탐탁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이 회장은 “국제화, 국제화 하지만 국제화된 인력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밀어붙였다. “이 일은 사장들이 직접 챙겨도 시원찮을 텐데 실무자들이 하고 있다. 한마디로 대소완급(大小緩急)을 가리지 못한다”고 사장들을 다그치기도 했다. 도입 첫해 실무진이 20여명을 선발해 결재를 올리자 이 회장이 “아직도 내 말뜻을 못 알아듣느냐”고 호통을 치며 200여명을 내보냈다.
이렇게 해외로 나가게 된 지역전문가들은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첨병 역할을 했다.
지역전문가 출신 임원도 늘어나고 있다. 원기찬 삼성카드 사장이 대표적이다. 원 사장은 1994년 지역전문가로 미국을 다녀왔고 이후 삼성전자 인사팀장을 거쳐 지난해 사장으로 승진했다. 지역전문가 출신 중 첫 사장 승진이었다. 여성 임원으로는 삼성전자 김기선 상무(1995년 영국), 연경희 상무(2003년 싱가포르) 등이 지역전문가 출신이다. 김현주 삼성전자 상무(1993년 일본), 한인호 삼성물산 상무(1995년 중국)도 지역전문가 출신으로 임원이 됐다.
해외에서도 지역전문가는 연구 대상이다. 2011년 세계적 경영 학술지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지역전문가 제도를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빠르게 성공한 핵심 비결”로 꼽았다.
-
지역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각 시·도 지역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를 생산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지역 주민에 의한 ...
-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생산, 판매, 자재, 인사, 회계 등 기업 전 부문에 걸쳐 있는 인력, 자금, 정보 등 모...
-
자이툰부대[Zaytun Division]
2004년 8월 평화재건을 목적으로 이라크 에르빌주에 파병된 한국군 부대.정식 명칭은 ''...
-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친환경적 또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부문에 사용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