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폴리케톤

[Polyketone]

일산화탄소와 에틸렌, 프로필렌을 공조합시켜 만드는 신소재로 효성이 2013년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폴리케톤은 열과 마찰, 충격, 화학물질 등에 견디는 능력이 좋아 금속을 대체하는 공업용 플라스틱 소재로 쓰인다. 특히 플라스틱 나일론과 비교해 충격에는 2배, 마찰에는 최고 14배 뛰어나 자동차와 전자부품 등 산업용 소재로 쓰일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일본 등이 1980년대 이후 상용화에 도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2004년부터 폴리케톤 연구를 시작한 효성이 10년 만인 2013년 양산기술을 확보한 뒤 미국 독일 등의 150여개 업체로부터 품질 인증을 받고 시제품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국내 133건,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 27건의 관련 특허 출원과 등록을 마쳤다.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가 찾아낸 실증 법칙으로 실업률이 낮으면 임금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

  • 플랫폼 14.0[Platform 14.0]

    독일 정부와 기업들이 제조업에 초점을 맞추고 함께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 프로젝트를 실...

  • 포워드가이던스[forward guidance]

    ,,,

  • 필터 이론

    주식의 투자가치에 영향을 주는 재료인 성장 가능성, 배당정책, 수익성, 증자와감자, 주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