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처리즘
[Thatcherism]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영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진했던 사회·경제 정책을 통칭하는 말. 공기업 민영화, 재정지출 삭감, 규제 완화와 경쟁 촉진 등을 포함한다. 민간의 자율적 경제활동을 중시하는 통화주의에 입각해 강력한 경제개혁을 추진했기 때문에 영국식 신자유주의의 핵심 이념으로 꼽힌다. 대처리즘의 주요 정책인 민영화는 당시로선 획기적이었다. 사회주의 국가를 제외하고 세계에서 국영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가 영국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실업자가 160만명에 달하고 이자율과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는 등 ‘영국병’에 시달리고 있던 영국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대처는 작은 정부, 시장경제 및 경쟁주의,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전격 단행했다.
특히 수송 에너지 통신 철강 조선 등 영국의 기반을 이루는 산업이 국영화됐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점에 착안, 가스 전기 통신 수도 석탄 철강 항공 자동차 등 대부분의 국영기업을 민영화했다. 취임 첫해였던 1979년 국영기업에서 일하는 영국의 노동자 수는 200만명이었지만 민영화를 거친 1988년에는 절반인 100만명으로 줄었다. 국영기업의 생산량도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의 10분의 1에서 6%로 감소했다. 대처의 강도 높은 공기업 구조조정을 거친 항공사 ‘브리티시 에어웨이’는 정비사들의 파업이 크게 줄어 ‘정시에 출발할 수 없는 항공사’라는 오명을 벗기도 했다.
공기업 민영화로 대표되는 이 대처리즘은 우파 진영에선 영국병을 치유하고 영국을 다시 번영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민영화가 재정수입 증대, 노조 약화, 경영 효율성 향상, 자본시장 발전 등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대처 이후 1997년 집권한 노동당 정부가 10년 동안 연 3%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영국의 경제성장 신화를 이룩한 것도 사실상 대처리즘의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
디지털 골드러시[Digital gold rush]
2017년 들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된 가상화폐의 가치가 급등하면서 이를 채굴해서...
-
담보부사채[mortgage bond]
기업체가 회사채의 원리금을 보장하기 위하여 부동산 등의 담보물을 신탁회사에 맡기고 이를 근...
-
도로점용료
건설 공사에서 추가 시설 설치 등을 위해 공공 도로를 사용하는 때 도로관리청에 지급하는 사...
-
대량응징보복[Korea Massive Punishment and Retaliation, KMPR]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할 경우 대규모 미사일 발사로 보복한다는 한국군의 군사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