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차등의결권 주식

[dual class right]

일반 주식보다 의결권이 몇배 높은 주식으로 최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제도.
창업주난 경영인이 가진 주식 1주에 복수 의결권을 부여하는 권리다.

예를 들어 최대주주가 소유한 보통주는 주당 의결권 1표를 갖는대신 ''2등급 주식''을 일반인에게 발행해 배당은 많이 주되 10주당 의결권 1표를 갖게 해 자금조달을 하면서 경영권은 쉽게 지키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구글이 2004년 공모ㆍ상장하면서 창업주들은 보통주보다 의결권이 10배나 많은 주식을 발행해 경영권을 강화하면서도 대규모 자금조달을 한 적이 있다. 미국 포드사의 경우에도 대주주는 3.7%의 지분으로 40%의 의결권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부터 차등의결권 도입을 추진해왔으며 2021년 3월 쿠팡이 미국에 상장하면서 관련법률 개정을 통한 도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쿠팡의 경우 창업자 김범석 의장이 주당 29개의 의결권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어

  • 청정발전계획[Clean Power Plan]

    미국 환경보호국이 2014년 6월 발표한 미국발전소의 탄소배출규제안. 이 계획에 따르면 미...

  • 참의원[參議院]

    1947년 일본 헌법 제정 당시 양원제 의회를 채택하며 중의원(衆議院)과 함께 설립됐다. ...

  • 최종고위각료회의[Concluding Senior Officials''Meeting, CSOM]

    APEC정상회의에 앞서 APEC회원국의 차관보급이 모이는 회의. APEC 정상회의에서는 2...

  • 추가경정예산[追加更正豫算, supplementary budget]

    매년 정기국회에서 통과되는 본예산과는 별도로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 등 부득이한 이유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