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보완자본

[supplementary capital]

기본자본과 함께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분자인 자기자본을 형성하며, 전형적인 자기자본은 아니지만 자기자본에 포함될 수 있는 정당하고 중요한성격을 갖고 있다고 인정되는 항목으로 각국의 회계·조세제도에 따라 감독 당국의 재량으로 결정하되 BIS 기준에 제시된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재평가적립금, 유가증권평가익, 대손충당금, 부채성자본조달수단, 기한부후순위채무 등이 이에 해당된다.

  • 발생주의[accrued basis]

    회계처리시 현금 출납이 없더라도 가격 상승이나 하락분을 순자산 변동으로 처리해 재무제표에 ...

  • 브릭스 펀드[BRICs Fund]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브릭스 국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주식이나 채권에...

  • 보장자산

    실제로 가지고 있는 자산은 아니지만 사망보험, 건강보험, 재물보험처럼 미래에 발생할 수 있...

  • 보통주[common stock]

    보통 일반회사들이 발행하고 있는 주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것으로 우선주나 후배주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