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업용순자본비율

[net capital ratio, NCR]

1997년 4월 도입된 증권회사자기자본규제 제도.

은행의 BIS비율처럼 증권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유동성자기자본(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시한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들은 항상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보다 크게 유지해야 하며 그 비율이 100%, 120%, 150%에 미달할 때마다 각각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의 적기시정조치가 이뤄진다.

투자자 보호와 증권산업 안정을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장치지만, 증권업계의 자기자본투자(PI)를 제한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투자은행 · IB)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관련어

  • 외채상환부담률[debt service ratio, DSR]

    일정 기간(주로 1년) 중 수출대금, 무역외수입의 합계로 외채원리금상환액(1년 이상 중장기...

  • 인터루킨[interlukin]

    사람의 몸 안에서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물질이다. 면역세포인 T세포 증식과 활성화 등에 관여...

  • 인스피리언스족[insperience]

    집안들 뜻하는 영어‘indoor’와 경험을 뜻하는‘experience''를 결합시킨 말로 ...

  • 외화유동성비율[foreign currency liquidity ratio]

    외화자산부채 만기불일치비율, 중장기재원조달비율과 함께 은행의 외환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