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업용순자본비율

[net capital ratio, NCR]

1997년 4월 도입된 증권회사자기자본규제 제도.

은행의 BIS비율처럼 증권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유동성자기자본(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시한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들은 항상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보다 크게 유지해야 하며 그 비율이 100%, 120%, 150%에 미달할 때마다 각각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의 적기시정조치가 이뤄진다.

투자자 보호와 증권산업 안정을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장치지만, 증권업계의 자기자본투자(PI)를 제한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투자은행 · IB)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관련어

  • 우는 천사[weeping angel]

    미국의 중앙정보부가(CIA)가 삼성전자의 스마트 TV를 해킹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 옵트아웃 방식[opt-out]

    광고성이나 음란성 메일 차단 방식의 하나로 수신자가 거부 의사를 밝혀야만 문자를 보낼 수 ...

  • 아이온큐[IONQ]

    2015년 설립된 미국의 양자컴퓨터 스타트업. 양자컴퓨터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김정상...

  •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재료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의 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