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폭소노미

[folksonomy]

폭소노미는 웹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각종 콘텐츠에 키워드(태그)를 부여하고 공유함으로써 정보를 분류하고 구조화하는 사용자 주도형 분류 체계다. 이는 기존의 전문가 중심 분류 방식(디렉터리, 계층적 분류)과 달리, 대중의 참여를 통해 실시간으로 집단지성을 반영하는 방식이다.

‘Folksonomy’는 ‘사람들(folks)’과 ‘분류법(taxonomy)’의 합성어로, "대중이 이름을 붙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용자는 블로그 글,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에 직접 태그를 부여하고, 이 태그들이 축적되며 자연스럽게 의미망(semantic network)을 형성한다.

태그 기반 분류는 콘텐츠를 한 가지 주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검색성과 탐색성을 높인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플리커(Flickr), 딜리셔스(Del.icio.us),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이 있다. 폭소노미는 웹 2.0 시대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참여·공유·개방을 기반으로 한 정보 조직 패러다임의 변화를 상징한다.

  • 프로텍트[protect]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타인이 고의적으로 도용하거나 자신의 실수로 소멸되거나 훼손되...

  • 팹리스[fabless]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fab) 없이 반도체 설계와 판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다. 설계 ...

  • 피셔 효과[fisher effect]

    중앙은행의 총통화증가율 조절은 시중실세금리와 주가에 민감하게반영되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

  • 페퍼[Pepper]

    프트뱅크의 로봇 자회사인 로보틱스가 개발한 인간형 로봇. 페퍼는 인간의 목소리를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