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소노미
[folksonomy]폭소노미는 웹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각종 콘텐츠에 키워드(태그)를 부여하고 공유함으로써 정보를 분류하고 구조화하는 사용자 주도형 분류 체계다. 이는 기존의 전문가 중심 분류 방식(디렉터리, 계층적 분류)과 달리, 대중의 참여를 통해 실시간으로 집단지성을 반영하는 방식이다.
‘Folksonomy’는 ‘사람들(folks)’과 ‘분류법(taxonomy)’의 합성어로, "대중이 이름을 붙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용자는 블로그 글,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에 직접 태그를 부여하고, 이 태그들이 축적되며 자연스럽게 의미망(semantic network)을 형성한다.
태그 기반 분류는 콘텐츠를 한 가지 주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검색성과 탐색성을 높인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플리커(Flickr), 딜리셔스(Del.icio.us),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이 있다. 폭소노미는 웹 2.0 시대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참여·공유·개방을 기반으로 한 정보 조직 패러다임의 변화를 상징한다.
-
프리미엄부 발행[premium issue, issuing at premium]
주식, 사채, 공채 등 증권의 발행에 있어 액면보다 높은 가격으로 발행되는 것을 말한다. ...
-
파생결합상품
파생금융상품의 일종으로 주식 채권 예금 등 일반적 금융상품에 파생계약을 결합한 형태다. 주...
-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PF loan]
은행.저축은행.보험사 등 금융회사들이 특정 프로젝트의 미래에 발생하는 수익을 담보로 사업주...
-
파장분할방식 수동형광네트워크[wavelength-division multiplexer 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
한가닥의 광섬유로 여러 파장의 광신호를 전송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기술. 가입자마다 상·하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