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워싱턴 컨센서스

[Washington Consensus]

1990년 미국 국제경제연구소(IIE)가 남미 국가들의 경제위기 해법으로 제시한 세제개혁, 무역ㆍ투자 자유화, 탈규제화 등 10가지 정책으로 미국식 시장경제체제를 주 골자로 한다.

미국의 정치경제학자인 존 윌리엄슨이 1989년 자신의 저서에서 제시한 남미 등 개도국에 대한 개혁처방을 ‘워싱턴 컨센서스’로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이후 1990년대 초 IMF와 세계은행, 미국 내 정치경제학자들, 행정부 관료들의 논의를 거쳐 ‘워싱턴 컨센서스’가 정립되었다. 이후 미국 주도 신자유주의의 대명사로서 워싱턴 컨센서스는 동구 사회주의국가 체제 전환과 1990년대 후반 아시아의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주요 개혁정책으로 채택됐다.

이 용어는 반세계화주의자들에 의해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금융자본주의의 거대한 음모 내지는 술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중남미에서 좌파정권 도미노를 부른 원인으로 워싱턴 컨센서스의 실패가 지목되면서 베이징 컨센서스가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원수보험료[direct premiums written]

    보험회사가 대리점 등을 통해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보험계약자로부터 받아들인 보험료. 보험계약...

  •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

    주택소유자의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2017년 12월 13일 발표한...

  • 언더퍼폼[underperform]

    특정 주식의 하락률이 시장 평균보다 더 클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에해당 주식을 매도하라는 의...

  • 우리사주저축제도

    우리사주제도는 근로자들이 우리사주조합을 결성, 자기 회사 주식을 매입해 보유하도록 하는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