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공능력평가제도

 

건설업체의 전년도 공사실적, 경영 및 재무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각 업체가 1건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금액으로 환산(시공능력평가액)한 뒤 매년 7월말 이를 공시하는 제도. 발주자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제도는 공사실적, 재무상태, 기술자 수 등 본질적으로 의미가 다른 평가요소를 금액화한 뒤 단순 합산함으로써 시공능력을 왜곡할 우려가 큰 데다 평가액 자체도 상당히 부풀려져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상호운용성 검증시험[Inter-operability verification test before system installation, IOT]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 연계성, 통합성 등에 대한 정보시스템을 도입하기 전에 기술검증...

  • 상속포기

    상속을 받을 때 적극재산(재산·채권 등)뿐 아니라 소극재산(채무·유증 등)도 물려받게 되는...

  • 소비혁명점

    소비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대도시의 사람들의 소비성향이 크게 바뀌는 소득수준의 단계로 ...

  • 스코프 1[Scope 1]

    기업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사업장에서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말한다. 회사 내에서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