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레토법칙

[Pareto’s Law]

소득분포에 관한 통계적법칙으로서, 파레토가 유럽제국 의 조사에서 얻은 경험적 법칙으로 요즘 유행하는 ‘80:20 법칙’과 같은 말이다. 즉, 상위 20% 사람들이 전체 부(富)의 80%를 가지고 있다거나, 상위 20% 고객이 매출의 80%를 창출한다든가 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80과 20은 숫자 자체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 성과의 대부분(80)이 몇 가지 소수의 요소(20)에 의존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웹2.0 시대를 맞아 퇴장하고 틈새상품이 시장을 주도하는 ''롱 테일 경제''가 자리잡고 있다.

관련어

  • 페놀[phenol]

    백색결정의 유기화합물로 향긋한 냄새를 풍긴다.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이나 수지, 합성섬유,·...

  • 판문점 선언(2-2)

    3. 남과 북은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다...

  • 폴리코노미[Policonomy]

    정치를 뜻하는 폴리틱스(politics)와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미(economy)의 합성어...

  • 푸얼다이[富二代]

    중국에서 부모에게서 막대한 부를 물려받아 호화생활을 하는 재벌2세를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