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레토법칙

[Pareto’s Law]

소득분포에 관한 통계적법칙으로서, 파레토가 유럽제국 의 조사에서 얻은 경험적 법칙으로 요즘 유행하는 ‘80:20 법칙’과 같은 말이다. 즉, 상위 20% 사람들이 전체 부(富)의 80%를 가지고 있다거나, 상위 20% 고객이 매출의 80%를 창출한다든가 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80과 20은 숫자 자체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 성과의 대부분(80)이 몇 가지 소수의 요소(20)에 의존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웹2.0 시대를 맞아 퇴장하고 틈새상품이 시장을 주도하는 ''롱 테일 경제''가 자리잡고 있다.

관련어

  • 표준투자권유준칙

    개인투자자가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하기 전 금융상품판매사는 개인투자자로부터 투자경험, 재산상황...

  • 피구효과[Pigou Effect]

    물가하락으로 현금구매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소비가 늘어 경제가 확장되는 현상을 말한다. ...

  • 프로젝트 디지트[Project DIGITS]

    미국의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Nvidia)가 2025년 5월 출시를 목표로 개발...

  • 평균배출량 제도[Fleet Average System]

    자동차 제작사가 판매하는 차량 전체의 배출량 평균이 기준을 충족하면, 일부 차종에 대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