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계약심사기준
국내 기업은 선진 기술을 보유한 외국기업의 특허권 등 지적재산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지적재산권의 사용 계약내용이 국내기업에 불리하게 돼 있거나 부당한 경우도 발생한다. 이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적재산권 사용계약에 대한 불공정 여부를 심사한다. 이 기준이 국제계약심사기준이다.
국제계약심사기준은 1990년 7월 5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32조 2항 규정에 의해 고시됐다. 불공정한 국제계약 규제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기술도입자가 수출을 하려면 기술제공자의 사전승인을 받게 한다든지, 국내 특정 지역에 대한 제품의 판매를 금지하는 경우 등이 불공정한 국제계약의 대표적인 사례다.
-
금융비용 부담률
이자비용 등의 금융비용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자금차입에 따른 기업의 부담이 어...
-
검색엔진[Search Engine]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한 지도 역할을 하는 것이 검색엔진이다. 찾...
-
금융 분절화[financial fragmentation]
금융 분절화는 하나의 금융 시장이 여러 개의 서로 분리된 시장으로 나뉘는 현상을 말한다. ...
-
광랜 서비스[Optical LAN service]
초고속인터넷보다 최대 10배나 빠른 인터넷 서비스. 광랜은 아파트나 건물등의 구내에 설치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