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함정
[liquidity trap]통화 공급을 확대하고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경기부양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
1930년대 세계대공황 때 돈을 풀어도 경기가 살아나지 않은 것을 두고 영국의 경제학자 존 케인스가 만들어낸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낮아지면 기업은 돈을 빌리기가 쉬워지므로 투자를 늘리려고 한다. 그러나 이자율이 어느 정도까지 내려가면 사람들은 가까운 장래에 이자율이 올라갈 것이라 생각하여 채권을 사지 않고 현금을 가지고 있으려 하는데, 이를 유동성 함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금융정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즉,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이자율을 내리고 금융당국이 채권의 공개시장조작정책으로 화폐의 공급량을 증대시켜도 화폐 수요에 흡수되어 이자율은 내려가지 않는다.
-
위지윅[what you see is what you get, 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의 줄임말로 사용자가 현재 화면에서 보고...
-
에스컬레이션 조항[escalation clause]
물가나 외환시세의 변동에 따라 수출입계약, 공사도급금액, 임금, 리스 등 변경될 사항을 미...
-
인사이트 펀드[insight fund]
특정자산,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세계를 대상으로 매력적인 투자 대상을 발굴해 투자하는 고위...
-
엘리어트 파동이론[Elliott Wave Theory]
주가의 움직임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움직이면서 끝없이 순환한다는 이론으로 1939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