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흑사병

[plague]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이다. 페스트균에 감염된 쥐에 기생하는 벼룩이 쥐의 피를 빨아먹으면 역시 감염되고, 이 벼룩이 사람을 물면 흑사병에 걸릴 수 있다.

흑사병은 증상에 따라 림프샘 흑사병, 폐 흑사병, 패혈성 흑사병으로 나뉜다.

림프샘 흑사병은 쥐·벼룩에 의해 감염되지만, 폐 흑사병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흑사병은 14세기 중반 유럽에서 크게 유행해 당시 유럽 인구의 4분의 1에서 3분의 1에 달하는 2500만~60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흑사병은 전염병 중 가장 단기간에 사망에 이르게 하는 병으로 불렸지만 푸른곰팡이를 배양해 얻은 페니실린이 개발되면서 치료의 길을 찾았다. 흑사병은 일반적으로 발병 초기에 항생제를 투여해 치료한다.

  • 화폐 경제

    화폐란 재화와 서비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사회적 발명품을 의미하고, 화폐경제는 화폐를 ...

  • 헤지비율

    헤지의 대상이 되는 기본자산(현물 또는 선물등)의 가치가 일정한 값만큼 변동할 때 헤지를 ...

  •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

    TV 채널 간 주파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완충지역으로 남겨두어 쓰이지 않고 있는 주파수 대...

  • 헤드 페이크[head fake]

    투자자를 속이는 잘못된 지표. 헤드 페이크는 원래 농구 게임에서 상대방 선수가 앞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