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비중 상한제
[CAP, CAP]코스피200, 코스피100, KRX300 등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에서 지수 구성 종목 중 1개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이 30%를 넘기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규정으로 2019년 6월 한국거래소가 도입했다. "30%룰"이라고도 한다.
특정 종목 1개의 시총이 전체의 30%를 넘어도 30%까지만 지수에 반영된다.
매년 5월과 11월 마지막 매매거래일로부터 직전 3개월간 평균 편입 비중이 30%를 넘어설 경우 6월과 12월 선물 만기일 다음 매매거래일에 비중을 조정한다.
지수를 기초로 만드는 펀드들은 해당 주식의 비중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
2019년 11월말 삼성전자가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의 적용을 받을 경우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 자금의 유출이 불가피하게된다.
-
쇼트 스퀴즈[short squeeze]
주가(상품가)하락을 예상하고 공매도(쇼트 매도 short selling)를 했던 투자자들이...
-
소프트 타깃[soft target]
소프트 타깃은 군이나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취약한 사람이나 장소등을 뜻한다. 민간인, 학교...
-
사모재간접 공모펀드
여러 개의 전문사모(헤지)펀드에 분산투자하는 상품. 최소가입금액이 500만원으로 운용자금이...
-
시그니처 은행[Signature Bank]
미국 뉴욕주에 본사를 둔 상업은행으로, 암호화폐 거래 기업을 주 고객으로 한다.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