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

[CAP, CAP]

코스피200, 코스피100, KRX300 등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에서 지수 구성 종목 중 1개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이 30%를 넘기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규정으로 2019년 6월 한국거래소가 도입했다. "30%룰"이라고도 한다.

특정 종목 1개의 시총이 전체의 30%를 넘어도 30%까지만 지수에 반영된다.

매년 5월과 11월 마지막 매매거래일로부터 직전 3개월간 평균 편입 비중이 30%를 넘어설 경우 6월과 12월 선물 만기일 다음 매매거래일에 비중을 조정한다.

지수를 기초로 만드는 펀드들은 해당 주식의 비중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
2019년 11월말 삼성전자가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의 적용을 받을 경우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 자금의 유출이 불가피하게된다.

  • 수요망관리[Demand Chain Management]

    요즘 기업들은 고객관리 방안의 하나로 "수요망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수요망관리란 회사...

  • 생체모방로봇[biomimetic robot]

    인간을 비롯한 동물이나 곤충, 물고기 등의 기본구조와 원리, 메커니즘을 모방해 생활에 필요...

  • 소득 1~7분위

    소득분위는 통계청이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분기 소득수준에 따라 10%씩 10단계로 나눈 지...

  • 싱크홀[sink hole]

    자연적인 현상의 하나로 땅이 가라앉아 생긴 구덩이를 말한다. 자연 상태의 싱크홀은 석회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