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비상경제권법
[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IEEPA]국가 안보상 ‘이례적이고 특별한 위협’이 발생할 경우 미국 대통령이 상대국을 경제 제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법안. 1977년 제정됐다. 미 대통령은 이 법에 의거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외환과 무역 거래 등을 차단할 수 있다.
IEEPA는 이라크, 러시아, 북한 등 여러 국가에 대한 제재에 활용되었다.
최근 2025년 2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수입품에 대해 IEEPA를 근거로 관세를 부과하면서 주요 교역국에도 적용되는 첫 사례가 되었다.
이는 미국의 글로벌 경제 제재 정책의 새로운 형태로, 국제적 파장이 예상된다.
관련어
- 참조어트럼프의 해방의 날
-
국내총소득[gross domestic income, GDI]
국내 거주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으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에 실질 무역 손익을 더...
-
기능통화[functional currency]
기업의 영업활동이 주로 이뤄지는 경제 환경의 통화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해운업체는 형식적으...
-
개방형 인플레이션[open inflation]
물가를 통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물가가 오르는 현상. 이에 반해 수요가...
-
그린스펀 수수께끼[Greenspan''s conundrum]
정책금리를 올렸지만 시장금리는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2000년대 중반 앨런 그린스펀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