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준감사시간제도

 

감사업무의 품질을 높이고 투자자 등 이해관계인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감사인이 최소한 투입하여야할 감사시간을 의미한다. 2018년 개정된 외부감사법의 핵심내용으로 2019년 1월1일 부터 개시하는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부터 적용되고 있다.

주요 내용은

▷표준감사시간이 직전년도 감사시간보다 30%(다만,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은 50%) 이상 상승하는 경우 30%(자산규모 2조원 이상은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승률 상한제 도입

▷자산규모 2조원 미만 기업은 단계적 적용, 유예(별표:그룹별 적용 예 참고)

▷특히 자산 2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은 적용 배제

▷11개 그룹으로 세분화(당초안 6개 그룹)하여 기업별 특성을 최대한 반영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시간 가산율 30%(당초안은 40%)부터 단계적으로 적용 등이다.
표준감사시간제도는 회계 투명성을 위해 도입됐지만 감사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상장기업의 외부감사비용이 50%이상 뛰는 등 기업에 부담을 주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 폐열회수장치

    발전소의 가스터빈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모아 스팀터빈을 가동하는 설비다. 폐열회수장치에 장착...

  • 필드 스톱제[field stop system]

    PC, 정보기기, 카 오디오 등 내수용 상품에 중대한 결함이 생길 경우 개선될 때까지 판매...

  • 표준이율

    생명보험사들이 고객들에게 장차 보험금을 돌려주기 위해 쌓아 놓는 ''표준책임준비금''에 적...

  • 패스키[Passkey]

    기존의 비밀번호 대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 자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