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기본계획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에너지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에너지 헌법'으로 불린다. 현재 시점부터 향후 20년 동안의 에너지 수요·공급 전망, 에너지 확보·공급 대책, 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계획 등이 들어간다. 어떤 에너지 비중을 늘려갈지도 결정된다. 5년마다 수립하는 계획이다.
에너지기본계획의 구속을 받는 하위 계획도 10여 개에 이른다. 전력수급기본계획,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에너지이용합리화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석유비축계획 등이다. 전력기본수급계획이 특히 중요한 계획으로 꼽힌다.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을 정하기 때문이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관련어
- 참조어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양자도약[quantum jump]
"양자도약"은 물리학과 경제·경영 분야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물리...
-
인터넷뱅킹
인터넷뱅킹이란 인터넷을 이용해 은행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 은...
-
위험기준자기자본제도[risk-based capital, RBC제도]
RBC 제도는 보험사가 보유한 자산과 부담하는 리스크를 기준으로 최소한의 자기자본(요구자본...
-
연약지반 개량 신공법
강인한 합성섬유로 만든 자루 모양의 모래기둥을 연약지반 속에 넣어 다짐으로써 배수를 촉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