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용적 성장

 

사회 각 구성원에게 균등한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불평등 완화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이론.

2009년 세계은행에서 처음으로 제기됐으며 2011년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와 미국 백악관 대통령 보고서(2016년), 세계경제포럼(WEF·2015년, 2017년) 등에서 주요 의제로 채택됐다.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의 핵심 기조인 소득주도 성장보다 넓은 개념의 경제학 이론이다. 시장경제에 따른 부작용을 정부의 소득 재분배, 복지·사회안전망 확충, 임금 인상 등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소득주도 성장론 주창자인 홍장표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사실상 경질된 2018년 6월 26일 이후 '포용적 성장'을 전명에 내세우고 있다. 소득주도 성장이 근로자만을 위한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좁은’ 개념에 갇히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반발을 불러오면서 당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 파이로프로세싱[pyroprocessing]

    원자력 발전을 한 후 남은 핵연료를 다시 연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신기술이다. 고...

  • 팝업 플레이[pop-up play]

    문자 메시지나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도 별도의 화면으로 동영상을 동시에 끊김 없이 시청할 수...

  • 포트폴리오 투자

    소액의 주식, 채권 및 기타 다른 유가증권 등을 여러 종류에 분할해 투자하는 방법이다. 위...

  • 프로덕트 라인[product line]

    사용도 및 생산공정과 마케팅 등에서 밀접하게 관련있는 기업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군. 예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