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SA표준

[standalone]

이동통신 데이터 송수신 영역을 모두 5G 무선망을 이용해 처리하도록 설계된 순수 5G 기술이다.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는 2018년 6월 14일 미국 라호야에서 열린 총회에서 5세대(5G) 이동통신 ‘단독(SA·standalone)’ 표준 규격을 승인했다. 3GPP는 2017년 5G와 LTE(4세대 이동통신) 방식을 융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도기 규격인 비단독(NSA) 규격을 승인하기도 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사들이 2019년 상반기를 목표로 준비 중인 세계 첫 5G 상용서비스는 NSA와 SA 두 표준을 모두 따른다. 전국에 촘촘히 깔려 있는 LTE망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다. 한국과 달리 LTE망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국가들은 SA 표준을 이용해 5G 서비스를 준비하는 게 유리하다.
전 세계 통신사와 통신장비 회사들은 3GPP가 정한 5G 규격에 맞춰 단말 및 기지국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 SaaS[software as a service, SaaS]

    소프트웨어를 제품이 아니라 서비스로서 빌려주는 것. 고객별로 맞춤형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으로...

  • SQC[statistical quality control]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관리는 원래 제조공정에서 제품의 불량을 제거하기 위한 검사의 의미로 ...

  • SW 임치제도

    SW개발기업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는 개발기업의 폐업 등의 경우에도 저렴한 비용으...

  • Segyehwa

    정부가 추진하는 세계화의 공식 영문 표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세계화를 영문으로 번역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