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기업이 6년간 감사인을 자율적으로 선임한 후, 다음 3년은 증권선물위원회가 지정한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는 제도이다.

기업과 감사인 간의 유착관계를 방지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독립적인 외부감사가 이루어져 경영진의 부정행위나 오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2020년부터 자산 규모 1,220억 원 이상의 상장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전체 상장사로 확대되었다.

관련어

  • 전자단기사채[Short-Term Bond, STB]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을 종이가 아닌 '전자' 방식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금융상품으로 ...

  • 제조업생산능력지수[manufacturing production capacity index]

    제조업 부문에서 제품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설비투자가 늘어나면 일정...

  • 제3자 단가계약

    수요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소요되고 신속 공급이 필요한 물자의 제조, 구매 및 가공 등의 계약...

  • 주택청약통장

    신규분양 아파트에 청약하기 위해 가입해야 하는 통장. 통장 가입 기간이 길수록 아파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