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용상승 인플레이션

[cost-push inflation]

제품의 생산비용 상승으로 제품가격이 올라 물가가 오르는 현상.

비용상승의 원인으로는 석유와 같은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성 증가율보다 높은 노동자의 과도한 임금 인상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생산요소 비용을 상승시켜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상향 이동한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과 더불어 경기 침체가 함께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이런 상황에서 침체된 경기에 대응하고자 통화량을 늘리거나 재정지출을 증가시키면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화된다. 반면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줄이면 경기는 더욱 침체돼 정부나 금융당국이 정책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 베타서비스[beta service]

    프로그램이나 게임 등의 본격적인 상용화 서비스 전,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서비스....

  • 변동비[variable cost]

    제품을 완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직접재료 또는 직접노동과 같은 생산의 양과 직접적으로 변화하...

  •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누리꾼이 이메일이나 SNS 등 전파 가능한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어떤 기업 또는 제품을 ...

  • 비스포크[bespoke]

    소비자가 ‘말하는 대로’ 제작해주는 맞춤형 생산방식을 말한다. 고객이 제품의 색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