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2014년 10월 1일부터 시행된 법률로, 미래창조과학부 의뢰에 따라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이 발의했다. 원명칭은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다.
휴대폰 보조금의 지급을 규제하고, 고가 요금제 연계 차등 지급 금지, 제조사 장려금까지 규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핵심이었다.
이통사는 홈페이지, 대리점·판매점은 영업장에서 단말기 출고가·보조금·판매가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했으며, 가입유형·연령·지역에 따른 보조금 차별을 금지했다.
법 시행 목적은 불법 보조금과 요금제 차별을 해소해 모든 소비자가 동일 조건에서 휴대폰을 구매하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시행 후 휴대폰 가격 상승, 판매량 감소, 이통사 혜택 축소 등 부작용이 지적됐다.
2024년 12월 26일 국회에서 단통법 폐지 법률안이 통과됐으며, 2025년 6월 26일부로 공식 폐지됐다.
관련어
- 참조어단말기 지원금 상한제도
-
다이아몬드형 패턴
다이아몬드형은 가격이 확산한 후 수렴하는 형태의 패턴으로 그 모양이 다이아몬드와 흡사한데서...
-
다중의결권 제도[multiple voting]
주식 1주당 의결권 1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주식엔 1주당 의결권을 1주보다 많이 주...
-
담보부증권[mortgage-backed certificate]
저당에 의해 보증된 증권. 투자가 기본 저당권의 이자와 원금에서 지급을 받는다. 담보부증권...
-
다양성 보고서[Diversity Report]
미국 기업들이 직원들의 성별, 인종별 구성에 관해 발표하는 보고서. 구글, 페이스북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