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격상한제

[price ceiling]

정부가 특정 목적을 위해 시장가격보다 낮은 수준에서 가격의 상한선을 정하고 규제된 가격으로 거래하도록 하는 제도다.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대출 최고 이자율 제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시장가격보다 규제 가격이 낮으므로 초과 수요가 발생하게 되고 거래량이 줄어들어 자중후생손실(deadweight loss)이 발생한다.

이때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소비자·공급자잉여가 모두 증가한다.

관련어

  • 국가부채

    발생주의 기준으로 국가부채란 국가가 실제로 진 빚인 국가 채무에 미래에 지출하기 위해 현...

  • 국제해양법재판소

    1994년 유엔해양법협약 발표에 따라 협약의 해석이나 적용에 관한 분쟁의 사법적 해결 등 ...

  • 국민행복기금

    채무불이행자의 신용회복 지원 및 서민의 과다채무부담 완화를 목표로 하는 기금으로 2013년...

  • 관리지역

    2003년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준도시지역과 준농림지역을 통합해 만든 지역.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