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격상한제

[price ceiling]

정부가 특정 목적을 위해 시장가격보다 낮은 수준에서 가격의 상한선을 정하고 규제된 가격으로 거래하도록 하는 제도다.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대출 최고 이자율 제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시장가격보다 규제 가격이 낮으므로 초과 수요가 발생하게 되고 거래량이 줄어들어 자중후생손실(deadweight loss)이 발생한다.

이때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소비자·공급자잉여가 모두 증가한다.

관련어

  • 규제프리존특별법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에 27개의 전략산업을 지정해 규제를 풀어주는 제정 및 ...

  • 국가경쟁력

    국가경쟁력은 한 나라의 총체적인 경제적 수준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회간접자본과 같은 경제의...

  • 그린 프라이스[green price]

    소비자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기존 전기요금보다 높은 가격(녹색가격)으로 구매하는 ...

  • 기가팩토리[Gigafactory]

    기가팩토리는 테슬라(Tesla)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을 대규모로 생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