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미니스커트 효과

 

불황일 때는 가라앉은 기분을 띄우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 현상. 무거운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니스커트 효과도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미니스커트가 유행한 것이 1995년인데 외환위기를 겪은 1997년에는 치마가 길어졌다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경기와 상관없이 미니스커트는 꾸준히 유행하고 있다.

미니스커트 효과와 비슷한 용어로 경제가 어려울수록 옷은 잘 안 팔리지만 여성들이 립스틱과 같은 저가 화장품을 많이 구매한다는 ‘립스틱 효과’를 꼽을 수 있다.

  • 메뉴비용[menu cost]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조정할 때 메뉴판을 바꾸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다. 식당에서 음식값...

  • 무역확장법 232조[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of 1962]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대통령이 긴급하게 수입을...

  •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ystem, MMS]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대편에게 송부하는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메시징...

  • 미니LED TV

    백라이트에 들어가는 LED 크기를 줄인 TV를 일컫는다. LCD TV의 단점인 명암비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