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아라

[Ara]

구글의 자회사인 모토로라가 2013년 10월 발표한 ‘조립식 스마트폰’ 을 말한다. 직육면체 케이스에 이보다 작은 직육면체 모듈을 끼워 넣는 방식이다. 모토로라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카메라, 스토리지,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을 소비자가 알아서 선택한 뒤 조립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제작’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모토로라는 이런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수개월 내에 ‘모듈 개발자 키트(MPK)’를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토로라 측은 “스마트폰 하드웨어 분야에서 개발자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진입 장벽을 낮추며, 혁신 속도를 높이고, 개발 기간을 상당히 단축하는 것”이 아라의 목표라고 덧붙였다.

‘아라’와 같은 맞춤형 제작 스마트폰이 늘어나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삼성과 애플에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처럼 프리미엄 제품이 주도하고 있지만 ‘아라’와 같은 형태의 스마트폰 플랫폼이 활성화되면 ‘스마트폰 브랜드’ 대신 가격과 성능이 천차만별인 부품끼리 경쟁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PC 시장에서는 이미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1990년대 후반 PC가 대중화되면서 싼값에 훌륭한 성능을 내는 조립식 PC가 인기를 누렸다. 이와 함께 데스크톱 PC 가격도 많이 떨어졌다.

  • 아퀼라[Aquila]

    페이스 북이 개발한 초대형 태양광 무인항공기. 무게는 454kg밖에 안나가지만 날개 길이만...

  • 외화유동성비율[foreign currency liquidity ratio]

    외화자산부채 만기불일치비율, 중장기재원조달비율과 함께 은행의 외환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정...

  • 열돔 현상[heat dome]

    상공의 고기압이 뜨거운 공기를 밀어 내려와 돔 형태를 만들고 지면에 열을 가두는 현상을 뜻...

  • 외부위탁운용관리자[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 OCIO]

    기관투자자(기업, 연금 기금, 재단 등)가 자산 운용을 위해 외부에서 전문적인 투자 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