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장지수펀드

[Exchange-traded fund, ETF]

KOSPI200이나 특정 자산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펀드.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스켓(10개 이상의 주식 조합)과 동일하게 펀드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해 일반 개인들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개별 주식처럼 매매가 편리하고 인덱스펀드처럼 거래비용이 낮다. 펀드에 비해 투자 정보를 파악하기 쉽다.

지수묶음 1주당 가격은 1만원이고 매매 최소단위는 10주이기 때문에 10만원 이상이면 언제든 펀드투자가 가능하다.

일반 펀드의 경우 가입이나 환매(펀드자금 인출) 때 다음날 기준가로 가격이 결정되는데 반해 상장지수펀드는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가격이 결정된다는 점도 특징이다. 상장지수 편드의 특징은 수익률이 특정지수에 연동되고, 환매 요구시 요구단위에 제한을 둔 점, 그리고 환매가 이루어지더라도 투자자들이 위탁회사로부터 현금이 아닌 현물(주식)을 수령한다는 점이 일반 인덱스 펀드와 다른 점이다.

최초의 상장지수펀드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상장지수펀드의 매매가 시작됐다.

국내 ETF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해 순자산규모로 2019년 40조 5,625억원, 2020년 47조3,382억원 그리고 2021년 58조1,293억원을 기록했다. 초창기에는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부분이었지만 진화를 거듭해 △국내 주식 △해외 지수 △채권 △파생상품 △원자재 △부동산 △외화 등을 활용한 상품으로 영역이 넓어졌다.


ETF는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에서 브랜드를 만든다. 삼성자산운용의 ETF브랜드인 ‘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브랜드인 ‘TIGER’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ETN은 ETN발행 증권회사의 이름이 맨 앞에 위치한다. 삼성증권이 발행한 ETN은 ‘삼성’, 신한금융투자가 발행한 ETN에는 ‘신한’이 ETN이름의 맨 앞에 표기된다(단, NH투자증권은 ‘QV’, 한국투자증권은 ‘TRUE’).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름 맨 앞만 보고도 ETF인지 ETN인 지 구분할 수 있다.

ETF는 그 자체로 포트폴리오 투자 효과가 있다. 수십개에 달하는 종목을 편입하고 있어서다. 표준화된 상품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주식을 거래할 때보다 거래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상품구성이 다양해 투자자들의 선택 범위가 넓다는 것도 ETF의 장점으로 꼽힌다.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단기자금·유동자금·단기채권 ETF처럼 가격이 조금씩 올라가는 채권형 ETF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런 상품은 채권 이자를 재투자하는데 주가가 느리지만 꾸준히 우상향한다. 적극적인 투자자에겐 주가지수, 상품지수 등을 활용한 ETF가 알맞다. 파생상품을 활용한 레버리지 ETF와 같은 고위험·고수익 상품도 있다.

기간에 따라 투자 방법을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기 투자자라면 매월 조금씩 적립식으로 ETF를 사들이면 된다. 투자 시기를 분산, 투자 위험을 낮추는 셈이다. 주식시장에 대한 방향성이 확실한 경우엔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기초지수의 일일 변동률을 역방향으로 쫓는 상품)를 활용할 수 있다. 상승장에서 레버리지 상품을 들고 있다가 하락장이 시작되면 인버스 상품으로 갈아타는 식이다. 최근엔 해외 주가지수, 원자재 가격 등과 연계한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도 등장했다.

  • 실업의 종류

    △잠재적 실업 : 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신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

  • 수출출하지수

    국내업체가 외국에 판매하는 활동의 단기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여 작성하는 지수.

  • 승수이론[theory of multiplier]

    재정지출이 몇 배나 큰 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케인스는 불황에 ...

  • 사이버 세대[cyber generation]

    인터넷 등 컴퓨터와 정보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사회환경에 익숙한 10대들을 일컫는 말...